1. 모래벼룩 주 발생지
2. 모래벼룩 증상
3. 예방과 치료
1. 모래벼룩 주 발생지
1㎜밖에 안 될 정도로 작은 벼룩 때문에 수백만명에 이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사람들이 극심한 가난과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고 CNN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문제가 되는 벼룩은 아프리카, 중남미, 서인도 일대 열대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모래벼룩’(chigoe flea)이라는 기생충이다.
지거는 먼지에 사는 작은 chigoe 벼룩이며 우간다와 다른 유사한 기후의 학교와 가정의 흙 바닥에서 발견됩니다.
이 기생충은 가축에 달라 붙어 농가를 주로 시골 지역의 집으로 옮깁니다.
베트남 무이네 붕따우 등 해변가, 해변가 모텔급 리조트에도 종종 발생된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모래벼룩 증상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흔히 볼 수있는 지거 또는 벼룩 벼룩은 인간의 피부에 들어가 완두콩 크기의 알을 낳습니다. 그 결과 상처는 괴저 및 간염과 같은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지거 벼룩은 붓기, 궤양, 가려움증 및 감염과 걷기가 어려운 통증을 유발합니다. 그들은 지거를 제거하는 유일한 방법은 발에서 지거벼룩을 제거해 내는 것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마취없이 시행됩니다
부종, 가려움증 및 감염을 일으켜 최악의 경우 절단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날카로운 칼, 메스 또는 핀을 사용하여 피해자의 발을 잘라 내야합니다.
핀이나 메스를 공유하는 피해자는 HIV / Aids 감염을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모래벼룩에 감염되면 가려움과 통증이 발생하며, 감염 부위가 부으면서 주변의 혈관이나 신경에 압박을 준다. 가렵다고 주변을 긁어 상처가 나면 2차 세균감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
흙이나 모래 속에 살다가 인간, 소, 양, 개 등 온혈동물의 발을 파고 들어가 피를 빨아 먹으며 기생한다.
모래벼룩 암컷은 2주 동안 신체에 기생하면서 수십~수백개의 알을 낳는다.
암컷 지거는 벼룩에 노출 된 피부 표면으로 뚫습니다.
일단 몸에 내장되면 지거는 알을 낳고 완두콩 크기의 알주머니를 만들고 더 많은 알을 낳아서 계속 증가합니다.
이러한 상처는 고통스럽고 걷기, 놀이 및 학교 출석과 같은 일상 활동에서 피해자에게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감염은 심한 염증, 궤양 및 섬유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림프절염, 괴저, 패혈증 및 발톱 상실, 손가락 절단 및 사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적은 수의 지거가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지거로 인한 2 차 감염 (괴저, 파상풍 및 기타 질병)은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그들은 대부분의 희생자들이 직장을 걷거나 학교에가는 것과 같은 활동을 수행 할 수 없게합니다.
우간다, 탄자니아 및 유사한 기후를 가진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도 감염의 영역이 넓습니다.
암컷 지거는 보통 손과 피부의 피부 속으로 들어가고 완두콩 크기까지 자랄 수있는 달걀 자루를 낳습니다.
벼룩은 더 많은 알을 낳아 계속 번식하여 감염으로 인해 신체가 궤양과 염증을 일으 킵니다.
3. 예방과 치료
모래벼룩은 신발만 신어도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감염 부위를 파내 소독하면 간단하게 치료 가능하다.
왜 아이들이 맨발로 다니나....그걸 방치하는 부모는 뭔가 했다....
내 새끼 발에 기생충 벼룩이 알을 낳아 부화된 걸 보는 부모 맘은 정말 찢어질 것이다...
내 아들이 공부말고 게임을 찾고, 더 소비하지 못해 불화가 생길 때, 내가 가보지도 경험해보지도 못한 곳에서는 이유없이 고통받는 어린이들, 사람들이 너무 많다.
하지만 케냐, 르완다 등 주요 발병지역은 돈이 없어 신발을 사 신거나 병원에 가기 어려운 빈곤층이 많아 피해를 키우고 있다.
가려움으로 인한 고통 때문에 학교에 가지 못하는 학생이나 일손을 놓은 농부 등 모래벼룩 피해자들이 수백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 가운데 케냐에만 감염자가 260만명에 달한다.
특히 모래벼룩 감염은 생업까지 방해한다는 측면에서 단순 질병을 넘어 아프리카의 빈곤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CNN은 지적했다.
지거를 자르는 것은 고통스러운 과정이며, 종종 모든 지거를 한 번에 제거 할 수는 없습니다. 케냐에서는 약 140 만 명의 사람들 (전체 인구의 4 %로 번역)이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래서 그 고통을 당하지 않는 상대적으로 나은 환경에 태어난 우리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빈곤한 곳에 태어난 이들을 위해 공부하고, 기술를 배우고, 고통에서 벗어날 도구를 만들어 내야 한다.
그게 운명이고. 숙명이다. 내가 누린 만큼 돌려줘야 한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 급여삭감 (0) | 2020.05.13 |
---|---|
2020 어린이날 선물 (0) | 2020.05.04 |
근로자의 날 쉬고 나오지 마! (0) | 2020.04.29 |
열대어 구피 키우기 (0) | 2020.04.09 |
행운을 부르는 풍수 식물 인테리어 (0) | 2020.04.08 |
댓글